목록전체 글 (145)
바쁜 직장인의 일기장

7월 첫째 주 마감일인 오늘(7/4), 시장은 기대감보단 경계심이 더 우세했다.최근 상승 랠리로 3,100선을 돌파했던 코스피는 이틀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결국 3,054포인트로 마감했다. 특히 오늘은 기관이 대거 매도에 나서며, 차익실현 성격의 조정이 강하게 나타났다. 여기에 미국의 대중국 관세 재부과 가능성과 상법 개정안 처리 관련 혼선이 더해지며 리스크 회피 심리가 확대되었다. 반면, 일부 테마주는 여전히 강한 탄력을 보이며 장중 순환매가 활발했다.코스피 마감 흐름 상세 분석 항목 수치 코스피 지수3,054.28p (-1.99%)코스닥 지수775.80p (-2.21%)거래대금(코스피)약 11조 원기관 순매도–4,837억 원외국인 순매수+1,263억 원개인 순매수+2,573억 원 기관은 단기 수익 실..

025년 7월 2일(현지 시간), 미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강세 흐름을 이어가며 주요 지수가 동반 상승했다. S&P500과 나스닥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다우지수 역시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4만4500선에 접근했다.핵심 동인은 AI 및 클라우드 수요 확대, EV 관련 모멘텀 강화, 소비 심리 회복, 무역 불확실성 완화 기대였다.주요 지수 현황지수명종가변동폭등락률S&P 5005,645.22▲28.45+0.51%나스닥 종합18,532.14▲173.94+0.94%다우존스44,521.38▲395.30+0.90% 수급 흐름 & 시장 배경Futures 선시장 움직임: 나스닥 선물 +0.1%, S&P 500 보합, 다우 - 관세·고용 발표를 앞두고 안정적 흐름 유지 무역 기대 완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

2025년 7월 3일(목), 코스피는 전일 대비 41.21포인트 상승(+1.34%)하며 3,116.27로 마감했다. 이는 사상 연중 최고 종가이며, 미·베트남 무역협상 경과와 상법 개정안 통과 기대감이 증시 강세를 견인했다 지수 흐름 및 수급 요약개장: 3,095 수준에서 출발 → 장중 저점 약 3,080 → 강한 우상향으로 전환 → 종가 3,116.27수급 분포:외국인: +6,323억 원 순매수기관: +5,613억 원 순매수개인: –1조 2,327억 원 순매도 해석: 외국인·기관의 동반 매수에 힘입어 코스피는 개인 중심 매도에도 불구하고 상승 흐름을 유지했으며, 특히 정책 기대와 글로벌 무역 모멘텀이 지수 방향성을 이끌었다.상승 배경 & 핵심 모멘텀미·베트남 무역협상 진전베트남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

2025년 7월 2일(수), 코스피는 14.59포인트(–0.47%) 내린 3,075.06으로 마감하며 사흘 만에 하락했다. 장 초반에는 3,032선까지 급락했지만, 개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들어오며 낙폭을 일부 회복했다주요 지수 및 수급 흐름코스피 종가: 3,075.06 (–14.59, –0.47%)코스닥 종가: 782.17 (–1.50, –0.19%)수급 요약외국인: –3,356억~–4,150억 원 순매도개인: +2,504억~+3,916억 원 순매수기관: +555억~+792억 원 순매수배경 요인글로벌 기술주 약세: 나스닥·테슬라 급락 영향으로 투자 심리 약화무역 관세 불확실성: 트럼프 前 대통령, 관세 유예 불가 언급으로 경계감 확대상법 개정 늦어짐: 지주사 및 상법 개정안 불확실성에 따른 정책 리스크 ..

2025년 7월 1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상반기의 마지막 날을 사상 최고치 랠리로 장식했다. S&P500과 나스닥 종합지수는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7월의 문을 활짝 열었다.이번 상승은 단순한 기술적 반등이 아니다. AI와 반도체, 에너지 전환, 암호화폐 제도화 등 ‘4대 메가트렌드’가 주도한 구조적 강세로, 시장은 단순한 ‘회복’을 넘어 ‘재평가’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주요 지수 요약지수/종가/변동폭/비고 지수종가변동폭비고S&P5006,204.95▲ +0.5%사상 최고치 경신나스닥 종합20,369.73▲ +0.5%사상 최고치 경신다우존스41,248.32▲ +0.6%중형주 동반 상승 → 모든 주요 지수가 상승 마감하며 전 섹터 확산 랠리 시현상승 배경 및 시장 심리(1) AI·클라우드 대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