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직장인의 일기장

[7월 10일 코스피 마감] 외국인·기관 매수에 3,183p…기술주·자사주 소각 기대 랠리 지속 본문

주식

[7월 10일 코스피 마감] 외국인·기관 매수에 3,183p…기술주·자사주 소각 기대 랠리 지속

그리미스 2025. 7. 12. 15:55
반응형

7월 10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1.58% 상승한 3,183.23포인트로 마감하며 4거래일 연속 연중 최고치를 경신하였다.
이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가 지속된 결과이며, 단기 반등을 넘어선 추세 전환 가능성을 시장에 보여주는 흐름이다.

이번 상승의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요인이 작용하였다.

  •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인하 가능성 시사
  • 자사주 소각 기대감 등 상법 개정 관련 정책 모멘텀 부각
  • 글로벌 반도체·AI 기술주 랠리에 따른 외국인 자금 유입
  • 원화 강세 흐름과 위험자산 선호 회복

2025년 7월 10일 코스피 마감 시황
2025년 7월 10일 코스피 마감 시황

지수 및 수급 현황

구분 수치
코스피 지수 3,183.23p (+1.58%)
코스닥 지수 797.70p (+0.93%)
외국인 수급 +4,492억 원 순매수
기관 수급 +462억 원 순매수
개인 수급 –5,654억 원 순매도
원달러 환율 1,370원 (–5원 하락)
 

외국인과 기관이 연이어 매수 우위를 보이면서 지수는 안정적으로 고점을 돌파하였다. 반면 개인은 단기 차익 실현에 집중하며 매도 우위를 나타냈다.


시장 주요 이슈

1)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및 인하 시사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연 2.5%로 동결하였으며, 향후 경기 흐름에 따라 완화적 통화정책 전환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이에 따라 금리 민감 업종인 금융·증권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2) 상법 개정 기대감 확산

정부가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상법 개정안을 추진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지배구조 개선 기대감이 확대되었다. 삼성물산, LG화학 등 주주환원 정책 수혜주들이 강세를 나타냈다.

3) 글로벌 기술주 랠리 영향

미국 증시에서 나스닥이 신고가를 경신하고, 엔비디아 등 AI 반도체 주가 강세를 보이면서 국내 반도체·IT 대형주에도 외국인 매수가 집중되었다.


업종별 흐름

업종상승률특징
제약·의료 +3.81% 외국인·기관 수급 동반 유입
전기·전자 +2.68% 삼성전자·SK하이닉스 중심 상승
화학 +2.24% LG화학, 포스코케미칼 등 소재주 반등
제조·유통 +1.98% 정책 기대 및 수출 회복 전망
 

반면, 건설업 –0.75%, 기계 –0.33%, 오락·문화 –0.33% 등 일부 업종은 단기 과열 부담으로 조정을 받았다.

 

주요 종목 흐름

 

종목명 등락률 해설
SK하이닉스 +5.69% HBM·AI 반도체 기대감 재부각
삼성바이오로직스 +6.09% 글로벌 수주 기대감 반영
LG에너지솔루션 +4.26% 2차전지 수급 회복 기대
삼성물산 +4.22% 자사주 소각 이슈 수혜
삼성전자 +0.99% 외국인 매수세 유입
KB금융 –1.35% 금리 관련 단기 혼조 흐름
두산에너빌리티 –2.02% 차익 실현 매물 출회
 

코스닥 동향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0.93% 오른 797.70포인트로 마감하였다.
외국인은 1,468억 원 규모 순매수, 기관은 매도 전환하였다. 개인은 소폭 매도세를 보였다.

주요 상승 종목

  • 리가켐바이오 +16.49%
  • 알테오젠 +6.02%
  • HLB +2.43%

주요 하락 종목

  • 파마리서치 –5.56%
  • 휴젤 –1.66%

코스닥 시장에서는 바이오·화장품·통신장비 테마 중심의 순환매가 전개되었다.


투자 전략 제언

  • 수급의 질이 달라지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이 동시에 대형주를 순매수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장기 상승 추세로의 전환 가능성이 존재한다.
  • 기술주, 2차전지, 바이오는 단기 강세 모멘텀이 유지될 수 있다.
  • 자사주 소각 관련 수혜주는 상법 개정 논의의 진전 여부에 따라 중기 투자 대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 다만, 건설·기계 등 최근 급등했던 경기민감주는 일부 조정 가능성이 있어 단기 비중 조절이 필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