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직장인의 일기장

[7월 11일 코스피 마감] 장중 3,200 돌파 후 외국인 차익실현…3175p 약보합 조정 흐름 본문

주식

[7월 11일 코스피 마감] 장중 3,200 돌파 후 외국인 차익실현…3175p 약보합 조정 흐름

그리미스 2025. 7. 12. 16:05
반응형

7월 11일 코스피는 장 초반 3,200선을 돌파하며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오후 들어 외국인과 기관의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면서 전일 대비 –0.23% 하락한 3,175.77포인트로 마감하였다.

이는 4거래일 연속 연고점 경신 이후 처음으로 나타난 조정 흐름이며, 단기적으로는 수익실현과 재정비 국면에 진입하였다고 볼 수 있다.


2025년 7월 11일 코스피 마감시황
2025년 7월 11일 코스피 마감시황

지수 및 수급 현황

 

구분 수치
코스피 지수 3,175.77p (–0.23%)
코스닥 지수 800.47p (+0.35%)
외국인 –1,267억 원 순매도
기관 –664억 원 순매도
개인 +1,466억 원 순매수
원·달러 환율 1,375.4원 (+5.4원 상승)
 
  • 외국인과 기관은 그간의 상승분에 대한 차익실현 매도세를 보였다.
  • 개인은 반대로 저가매수 유입을 통해 순매수 전환하였다.
  • 환율은 달러 강세로 인해 다시 소폭 상승하였다.

장중 흐름 해설

  • 오전 10시 이전 코스피는 3,204.34pt까지 상승하며 2021년 8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다.
  • 그러나 이후 외국인과 기관의 대형주 매도가 집중되면서 지수는 점차 하락 반전하였다.
  • IT·바이오 등 그간 상승폭이 컸던 종목군에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면서 장중 약세 전환이 나타났다.
  • 종가 기준으로는 전일 대비 소폭 하락한 상태에서 거래를 마쳤다.

업종별 흐름 분석

 

업종 등락률 특징
전기·전자 +1.11% 삼성전자 중심 강세
통신 +1.89% 경기방어 업종 선호 증가
운송창고 +1.73% 물류·유가 관련 기대감
보험·증권 +0.16% ~ +0.28% 금리동결 수혜주, 소폭 상승
기계 –2.66% 차익매물 출회 중심 약세
운송장비(자동차) –2.04% 현대차, 기아 등 하락 전환
유통업 –1.26% 소비심리 둔화 우려 반영

 


주요 종목 흐름

상승 종목

종목명 등락률 해설
삼성전자 +2.62% 외국인·기관 동시 순매수, 반도체 업황 기대 재부각
LG에너지솔루션 +1.10% 2차전지 반등세 지속, 기술적 지지선 확인
현대바이오 +28.65% 급성장 제약 이슈 발생, 거래량 급증
카카오 +0.91% 플랫폼주 중 상대적 저평가 매력 부각
 

하락 종목

 

종목명 등락률 해설
SK하이닉스 –0.84% 단기 급등 피로감 + 외국인 차익실현
삼성바이오로직스 –1.85% 바이오 고점 부담감 조정
NAVER –2.50% 외국인 매도세 유입, 기술주 조정 흐름
 

삼성전자는 상승세를 유지했으나, SK하이닉스·삼성바이오로직스·NAVER 등은 조정되며 대형주 간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코스닥 시장 요약

  • 코스닥 지수는 +0.35% 상승한 800.47pt로 마감하며 다시 800선에 안착하였다.
  • 외국인과 기관은 모두 순매수, 개인은 이익 실현에 나서며 매도 전환하였다.

대표 상승 종목

종목 상승률 특징
에코프로 +3.97% 2차전지 순환매 지속
에코프로비엠 +3.45% 기관 수급 유입 강화
HLB +1.19% 바이오 개별 모멘텀 유지
 

대표 하락 종목

종목 하락률 특징
알테오젠 –2.12% 고점 부담에 따른 조정
리가켐바이오 –3.39%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투자 전략 제안

  1. 단기 상승 피로감이 누적된 시점에서 차익실현 흐름은 자연스러운 조정 구간으로 해석된다.
  2. 대형 기술주 중 삼성전자와 같이 수급이 들어오는 종목은 비중 확대 전략이 가능하다.
  3. 반면 급등 종목군인 2차전지·바이오 종목은 일부 조정이 불가피하므로 분할 접근이 바람직하다.
  4. 지수 3,200 돌파 후의 저항선 확인 구간이므로, 단기 조정 시 재매수 포인트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5. 코스닥은 여전히 테마 중심 순환매가 유효하므로 종목별 이슈에 집중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