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직장인의 일기장
[7월 1일 미국 증시 시황] 나스닥·S&P500 사상 최고치…AI·암호화폐·에너지 테마 강세 총정리 본문
반응형
2025년 7월 1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상반기의 마지막 날을 사상 최고치 랠리로 장식했다. S&P500과 나스닥 종합지수는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7월의 문을 활짝 열었다.
이번 상승은 단순한 기술적 반등이 아니다. AI와 반도체, 에너지 전환, 암호화폐 제도화 등 ‘4대 메가트렌드’가 주도한 구조적 강세로, 시장은 단순한 ‘회복’을 넘어 ‘재평가’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주요 지수 요약
지수/종가/변동폭/비고
지수 | 종가 | 변동폭 | 비고 |
S&P500 | 6,204.95 | ▲ +0.5% | 사상 최고치 경신 |
나스닥 종합 | 20,369.73 | ▲ +0.5% | 사상 최고치 경신 |
다우존스 | 41,248.32 | ▲ +0.6% | 중형주 동반 상승 |
→ 모든 주요 지수가 상승 마감하며 전 섹터 확산 랠리 시현
상승 배경 및 시장 심리
(1) AI·클라우드 대전환
- MSFT: 클라우드 매출 20% 증가, 애저 기반 AI 수요 폭발
- AMD: AI GPU 발표로 AI 반도체 경쟁 본격화
- 팔란티어(PLTR): 美정부 계약 수주 급증 → AI 확산 수혜
📌 시사점: 과거의 "IT 중심 성장"이 이제는 "AI 중심 실현 수익화" 국면으로 진입
(2) 연준 금리 인하 기대와 경제 연착륙 신호
- 연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
- 제조업 PMI 소폭 하락 → 경기 과열 우려 완화
- 채권 금리 하락 → 성장주에 유리한 환경 조성
(3) 암호화폐 제도화와 거래소 급등
- Coinbase (COIN): +106% (2분기 상승률 기준)
- 美정부, 암호화폐 거래소 규제 로드맵 발표
- 비트코인 $72,000대 안착
📌 암호화폐를 둘러싼 제도적 기반 확립 → 금융주의 제도 내 편입 가능성
시가총액 상위 종목 흐름 요약
종목명 | 등락률 | 특징 요약 |
Microsoft | +1.9% | 애저 기반 AI 매출 증가, 실적 상향 기대 |
Nvidia | +2.3% | AI GPU 공급 확대 지속 |
Apple | +0.7% | AI 생태계 후속 투자 발표 |
Tesla | –1.5% | 로보택시 출시 연기설에 따른 조정 |
Amazon | +1.5% | 프라임데이 사전 소비 기대감 반영 |
Google (Alphabet) | +0.8% | AI 검색엔진 테스트 확대 |
급등주 TOP 5
종목명 | 상승률 | 배경 |
Coinbase | +13.2% | 규제 정비 + BTC 강세 |
Seagate Tech | +9.7% | 데이터 저장 수요 확대 |
GE Vernova | +7.8% |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 기대 |
Palantir | +7.1% | AI/보안 솔루션 정부 수요 급증 |
Rivian | +6.5% | EV 판매량 호조 + 반도체 수급 개선 |
급락주 TOP 5
종목명 | 하락률 | 배경 |
UnitedHealth | –3.9% | 실적 가이던스 하향 + 보험 규제 우려 |
Tesla | –1.5% | 자율주행 로드맵 우려 |
Enphase Energy | –1.3% | 재생에너지 지원 정책 지연 |
Walgreens | –1.0% | 소비자 수요 위축 |
Boeing | –0.8% | 항공기 납품 차질 뉴스 |
테마/섹터별 급등 흐름 TOP 5
① AI 플랫폼 및 반도체
- MSFT, AMD, Nvidia, Palantir
- "AI 실적" → "AI 상용화 수익"으로 변곡점 도달
② 암호화폐/블록체인
- Coinbase, MicroStrategy 등
- 기관 수요 확대, ETF 시장 재개 가능성
③ 클린에너지·전력 인프라
- GE Vernova, NRG Energy
- 미국 재정정책과 에너지 전환 투자의 교차점
④ 데이터 저장장치
- Seagate, Western Digital
- AI, 클라우드 수요 → 저장장치 수요 직결
⑤ 전기차 및 배터리
- Rivian, Lucid
- 전기차 수요 + 공급망 개선 → 생산 탄력성 회복
투자 전략 제안
📌 단기 시사점
- 시장은 과열보다는 구조적 전환 랠리로 해석됨
- ‘차익실현’보다는 ‘섹터 리밸런싱’이 핵심 키워드
- AI 수혜주 중 2~3선 종목까지 확산 중
📌 중장기 전략
- 빅테크는 더 이상 고평가 논쟁의 대상이 아님 → 실적과 모멘텀 동시 충족
- 금리 인하 시점 전후 시장은 재차 방향성 점검 → "인내하며 분할 진입" 유효
- 에너지·암호화폐 제도화는 연말까지 중장기 트렌드로 이어질 가능성 높음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3일 코스피 시황] 관세·상법 훈풍에 3,116.27 회복…대형주·2차전지·바이오 종목 집중 분석 (1) | 2025.07.06 |
---|---|
[7월 2일 코스피 시황] 외국인 매도에 3,075선 후퇴…급등·급락주·테마 전략 총정리 (3) | 2025.07.02 |
[7월 1일 코스피 마감 시황] 연고점 경신 후 3,089 마감…급등주·정책 테마·투자전략 총정리 (2) | 2025.07.01 |
[6월 30일 코스피 마감 시황] 외국인 매도에도 3,070선 회복 급등·급락 종목 정리 (4) | 2025.06.30 |
[6월 27일 미국 증시 시황] 다우·나스닥 사상 최고치 - 상승 원인과 유망 섹터 총정리 (4) | 2025.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