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직장인의 일기장

[7월 3일 코스피 시황] 관세·상법 훈풍에 3,116.27 회복…대형주·2차전지·바이오 종목 집중 분석 본문

주식

[7월 3일 코스피 시황] 관세·상법 훈풍에 3,116.27 회복…대형주·2차전지·바이오 종목 집중 분석

그리미스 2025. 7. 6. 17:06
반응형

2025년 7월 3일(목), 코스피는 전일 대비 41.21포인트 상승(+1.34%)하며 3,116.27로 마감했다. 이는 사상 연중 최고 종가이며, 미·베트남 무역협상 경과와 상법 개정안 통과 기대감이 증시 강세를 견인했다 

 


2025년 7월 3일 코스피 마감 시황
2025년 7월 3일 코스피 마감 시황

지수 흐름 및 수급 요약

  • 개장: 3,095 수준에서 출발 → 장중 저점 약 3,080 → 강한 우상향으로 전환 → 종가 3,116.27
  • 수급 분포:
    • 외국인: +6,323억 원 순매수
    • 기관: +5,613억 원 순매수
    • 개인: –1조 2,327억 원 순매도 

해석: 외국인·기관의 동반 매수에 힘입어 코스피는 개인 중심 매도에도 불구하고 상승 흐름을 유지했으며, 특히 정책 기대와 글로벌 무역 모멘텀이 지수 방향성을 이끌었다.


상승 배경 & 핵심 모멘텀

  1. 미·베트남 무역협상 진전
    • 베트남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유예 연장 기대감
    •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 감소로 외국인 자금 유입 확대국회 상법 개정안 통과 기대
  2. 글로벌 정책·기술 랠리 연계
    • 미국 기술주 강세가 국내 반도체 및 전자 업종에 긍정적 영향
    • 금리·정책 기대와 맞물린 구조적 리스크 완화

업종 및 시가총액 상위 종목 흐름

상위 업종별 대표 흐름

  • 철강·금속: +2.76%
  • 화학: +1.10%
  • 비금속광물: +1.03%
  • 전기전자: –1.07%
  • 금융: –1.09% 

대표 종목 퍼포먼스

 

종목명 등락률 특징
삼성전자 +4.93% 외국인 매수 주도·상법 기대 수혜
LG에너지솔루션 +5.29% 테슬라 반등 기대·2차전지 모멘텀 확대
삼성바이오로직스 +3.47% 바이오 섹터군 동반 강세
KB금융 +3.00% 자본시장 기대감 수혜
현대차 +0.47% 글로벌 공급망 강세 영향
NAVER +0.40% 플랫폼 성장 지속
기아 +0.10% 자동차 업종 흐름 반영
SK하이닉스 –0.18% 일부 차익 실현 발생
두산에너빌리티 +0.32% 정책 수혜 소폭 유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24% 방산 업종 약세
 

급등주 TOP 5

종목명 등락률 급등 사유
삼성전자 +4.93% 상법 기대·외인 대량 매수
LG에너지솔루션 +5.29% 2차전지 기대 + 테슬라 반등 영향
삼성바이오로직스 +3.47% 바이오 섹터 상승 분위기
KB금융 +3.00% 증시 활성화 기대감 수혜
롯데정밀화학14 약 +2% 화학 섹터 모멘텀 반영

급락주 TOP 5

종목명 하락률 급락 이유
SK하이닉스 –0.18% 차익 실현 + 기술조정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24% 방산 수급 약화
HD현대중공업 –3.31% 조선·방산 섹터 열기 둔화
기타 금융·통신주 약 –1%대 증시 활성화 기대 일부 선반영
 

테마·섹터별 급등 흐름 TOP 5

  1. 관세·글로벌 공급망 안정 테마
    • 삼성전자, LG엔솔 등 수출 대형주 중심 강세
  2. 상법 개정·지주사 수혜주
    • 금융·정책 관련주 (KB금융 등) 호재 반영
  3. 2차전지·배터리 관련주
    • LG에너지솔루션 포함, 글로벌 수요 확대 기대
  4. 바이오·헬스케어
    • 삼성바이오로직스·코스닥 바이오 강세 지속
  5. 화학·철강·금속주
    • 철강금속(+2.76%), 화학(+1.10%) 등 수급 유입

투자 전략 제안

  • 단기 전략
    • 외국인·기관 매수 주도 지속 가능성 → 수익 실현 구간 관심
    • 특정 모멘텀 기반 종목 (예: LG엔솔, 삼성전자) 중심 스윙 추천
  • 중기 전략
    • 상법 개정 수혜주, 무역 협상 연장 기대주(철강·배터리 등)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구성
    • 차익구간 조정 모색 필요
  • 리스크 관리 및 체크포인트
    • 정책 모멘텀 소멸, 글로벌 변수 (중국·미중 긴장, 금리정책) 주시 필요
    • 개인 매도 지속 → 외국인 수급 동향 리스크 가능성 고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