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직장인의 일기장
[7월 3일 코스피 시황] 관세·상법 훈풍에 3,116.27 회복…대형주·2차전지·바이오 종목 집중 분석 본문
반응형
2025년 7월 3일(목), 코스피는 전일 대비 41.21포인트 상승(+1.34%)하며 3,116.27로 마감했다. 이는 사상 연중 최고 종가이며, 미·베트남 무역협상 경과와 상법 개정안 통과 기대감이 증시 강세를 견인했다
지수 흐름 및 수급 요약
- 개장: 3,095 수준에서 출발 → 장중 저점 약 3,080 → 강한 우상향으로 전환 → 종가 3,116.27
- 수급 분포:
- 외국인: +6,323억 원 순매수
- 기관: +5,613억 원 순매수
- 개인: –1조 2,327억 원 순매도
해석: 외국인·기관의 동반 매수에 힘입어 코스피는 개인 중심 매도에도 불구하고 상승 흐름을 유지했으며, 특히 정책 기대와 글로벌 무역 모멘텀이 지수 방향성을 이끌었다.
상승 배경 & 핵심 모멘텀
- 미·베트남 무역협상 진전
- 베트남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유예 연장 기대감
-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 감소로 외국인 자금 유입 확대국회 상법 개정안 통과 기대
- ‘3%룰’ 등 지주사 중심 주주 친화 정책 확대
- 이재명 대통령이 “코스피 5000 시대” 준비 발언하며 증시부양 기조 강화 welcome-tis.com+8g-enews.com+8contents.premium.naver.com+8
- 글로벌 정책·기술 랠리 연계
- 미국 기술주 강세가 국내 반도체 및 전자 업종에 긍정적 영향
- 금리·정책 기대와 맞물린 구조적 리스크 완화
업종 및 시가총액 상위 종목 흐름
상위 업종별 대표 흐름
- 철강·금속: +2.76%
- 화학: +1.10%
- 비금속광물: +1.03%
- 전기전자: –1.07%
- 금융: –1.09%
대표 종목 퍼포먼스
종목명 | 등락률 | 특징 |
삼성전자 | +4.93% | 외국인 매수 주도·상법 기대 수혜 |
LG에너지솔루션 | +5.29% | 테슬라 반등 기대·2차전지 모멘텀 확대 |
삼성바이오로직스 | +3.47% | 바이오 섹터군 동반 강세 |
KB금융 | +3.00% | 자본시장 기대감 수혜 |
현대차 | +0.47% | 글로벌 공급망 강세 영향 |
NAVER | +0.40% | 플랫폼 성장 지속 |
기아 | +0.10% | 자동차 업종 흐름 반영 |
SK하이닉스 | –0.18% | 일부 차익 실현 발생 |
두산에너빌리티 | +0.32% | 정책 수혜 소폭 유입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0.24% | 방산 업종 약세 |
급등주 TOP 5
종목명 | 등락률 | 급등 사유 |
삼성전자 | +4.93% | 상법 기대·외인 대량 매수 |
LG에너지솔루션 | +5.29% | 2차전지 기대 + 테슬라 반등 영향 |
삼성바이오로직스 | +3.47% | 바이오 섹터 상승 분위기 |
KB금융 | +3.00% | 증시 활성화 기대감 수혜 |
롯데정밀화학14 | 약 +2% | 화학 섹터 모멘텀 반영 |
급락주 TOP 5
종목명 | 하락률 | 급락 이유 |
SK하이닉스 | –0.18% | 차익 실현 + 기술조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0.24% | 방산 수급 약화 |
HD현대중공업 | –3.31% | 조선·방산 섹터 열기 둔화 |
기타 금융·통신주 | 약 –1%대 | 증시 활성화 기대 일부 선반영 |
테마·섹터별 급등 흐름 TOP 5
- 관세·글로벌 공급망 안정 테마
- 삼성전자, LG엔솔 등 수출 대형주 중심 강세
- 상법 개정·지주사 수혜주
- 금융·정책 관련주 (KB금융 등) 호재 반영
- 2차전지·배터리 관련주
- LG에너지솔루션 포함, 글로벌 수요 확대 기대
- 바이오·헬스케어
- 삼성바이오로직스·코스닥 바이오 강세 지속
- 화학·철강·금속주
- 철강금속(+2.76%), 화학(+1.10%) 등 수급 유입
투자 전략 제안
- 단기 전략
- 외국인·기관 매수 주도 지속 가능성 → 수익 실현 구간 관심
- 특정 모멘텀 기반 종목 (예: LG엔솔, 삼성전자) 중심 스윙 추천
- 중기 전략
- 상법 개정 수혜주, 무역 협상 연장 기대주(철강·배터리 등)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구성
- 차익구간 조정 모색 필요
- 리스크 관리 및 체크포인트
- 정책 모멘텀 소멸, 글로벌 변수 (중국·미중 긴장, 금리정책) 주시 필요
- 개인 매도 지속 → 외국인 수급 동향 리스크 가능성 고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4일 코스피 마감] 기관 매도에 –2% 급락…AI·중국소비·유틸리티 테마 집중 분석 (4) | 2025.07.06 |
---|---|
[7월 2일 미국 증시 마감] S&P·나스닥 또 최고가…AI·EV·소비재 랠리 심층 분석 (2) | 2025.07.06 |
[7월 2일 코스피 시황] 외국인 매도에 3,075선 후퇴…급등·급락주·테마 전략 총정리 (3) | 2025.07.02 |
[7월 1일 미국 증시 시황] 나스닥·S&P500 사상 최고치…AI·암호화폐·에너지 테마 강세 총정리 (2) | 2025.07.01 |
[7월 1일 코스피 마감 시황] 연고점 경신 후 3,089 마감…급등주·정책 테마·투자전략 총정리 (2)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