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직장인의 일기장
[6월 27일 미국 증시 시황] 다우·나스닥 사상 최고치 - 상승 원인과 유망 섹터 총정리 본문
반응형
2025년 6월 27일, 미국 증시는 무역 우려와 인플레이션 우려에도 불구하고 S&P 500과 나스닥이 사상 최고치로 마감하며 강한 회복세를 보였다. 주요 지수는 일제히 사상 최고 수준으로 올라서며, 투자 심리 개선이 뚜렷했다.
주요 지수 및 종합 흐름
- Dow Jones: 43,819.27 (+432.43pt, +1.00%)
- S&P 500: 6,173.07 (+32.05pt, +0.52%) — 사상 최고 마감
- Nasdaq Composite: 20,273.46 (+105.55pt, +0.52%) — 사상 최고 마감
미국 증시는 이날 아침 기록적 상승 후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캐나다 무역 협상 중단 발표로 일시 하락했지만, 이후 반등에 성공하며 재차 사상 최고 수준으로 장을 마쳤다 .
📌 상승 요인
- 미국·중국 무역 협상 관련 낙관적 진전 기대
-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강화
- 나이키·보잉 등 주요 기업의 실적 호조
수급 및 지표 요약
- 무역 협상 변수: 캐나다와의 협상 중단 발표로 장중 하락, 곧 안전 자산 선호 심리 약화 및 기술·소비재 중심 재유입
- 인플레이션 지표: 5월 기준 핵심 PCE(개인소비지출)가 전년 대비 +2.3%로 상승 → 물가 압박 지속 wsj.com
- 금리 인하 기대: 금리 선물 시장은 향후 인하 확률을 19% 수준으로 반영
시가총액 상위 종목 흐름
- Nike: +15% 급등 — 예상 상회 실적 발표 및 상승 여력 지속
- Boeing: +5.9% — 방산·항공 회복 기대, 고거래량 주목
- Micron, Nvidia, Microsoft 등: AI·반도체 실적 모멘텀으로 상승세 유지
급등주 TOP 5
(요약 기준: S&P 500 내 종목 중 등락 폭 기준)
종목명/상승률/상승 요인
Nike | +≈15% | 실적 호조, 가격 인상 가능성 |
Boeing | +5.9% | 방산·항공 수요 회복 기대 |
FedEx | +3.6% | 물류 회복, 실적 개선 전망 |
Hilton Worldwide | +3.1% | 여행 수요 반등 기대 |
Royal Caribbean Cruises | +4.6% | 크루즈 산업 회복 기대 |
급락주 TOP 5
(요약 기준: S&P 500 내 종목 중 낙폭 기준)
종목명/하락률/사유
Newmont Corporation | –4.1% | 금 가격 하락, 위험선호 확대 |
Eli Lilly | –2.5% | 헬스케어 섹터 내 조정 압력 |
AbbVie | –2.4% | 헬스케어 관련 규제 우려 |
Bio‑Techne | –1.8% | 잇단 조정장 영향 |
Domino's Pizza | –1.8% | 소비재 전반 조정세 |
주요 테마/섹터 5선
테마명/대표 종목/핵심 포인트
무역·관세 관련주 | Boeing, FedEx, Royal Caribbean | 무역 회복 기대감에 수혜 |
소비재·레저 | Nike, Hilton, Cruise 업체 | 실적 호조 + 수요 회복 |
테크·AI | Nvidia, Microsoft | AI 모멘텀 지속 |
헬스케어 조정 | Eli Lilly, AbbVie | 규제·섹터 리밸런싱 영향 |
물가·인플레 연관주 | Newmont (금광), 금 관련 ETF | 인플레 둔화로 금 수요 조정 |
전략 요약
- 단기 전략: 소비재·항공·무역 회복 기대 관련 업종 선별 + 금리 인하 기대 종목에 주목
- 중기 전략: AI·반도체 등 성장섹터 강세 지속 예상 → 분할 매수 접근
- 위험 관리: 헬스케어 등 조정 지속 가능성 → 포트폴리오 다각화 권장
6월 27일 미국 증시는 중단된 무역 협상 발표에도 불구하고 투자 심리 회복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에서 마감했다. 특히 AI, 소비재, 항공 섹터는 강한 테마 강세를 보였고, 이전의 무역 리스크는 빠르게 재조정됐다. 단기적 변동성은 존재하지만, 전반적인 상승 추세는 유지되고 있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2일 코스피 시황] 외국인 매도에 3,075선 후퇴…급등·급락주·테마 전략 총정리 (3) | 2025.07.02 |
---|---|
[7월 1일 미국 증시 시황] 나스닥·S&P500 사상 최고치…AI·암호화폐·에너지 테마 강세 총정리 (2) | 2025.07.01 |
[7월 1일 코스피 마감 시황] 연고점 경신 후 3,089 마감…급등주·정책 테마·투자전략 총정리 (2) | 2025.07.01 |
[6월 30일 코스피 마감 시황] 외국인 매도에도 3,070선 회복 급등·급락 종목 정리 (4) | 2025.06.30 |
[6월 27일 코스피 시황] 급등주·테마주 총정리 - 외국인 매도세 속 유망주 찾기 (4) | 2025.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