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직장인의 일기장

[6월 30일 코스피 마감 시황] 외국인 매도에도 3,070선 회복 급등·급락 종목 정리 본문

주식

[6월 30일 코스피 마감 시황] 외국인 매도에도 3,070선 회복 급등·급락 종목 정리

그리미스 2025. 6. 30. 21:57
반응형

2025년 6월 30일 월요일, 코스피는 외국인의 지속 매도세 속에서 기관과 개인의 집중 매수로 3거래일 만에 3,070선을 회복했다. 상반기 강세장 마무리 국면에서의 순환매 변화와 종목별 대응 전략을 상세히 분석했다.


2025년 6월 30일 코스피 마감 시황
2025년 6월 30일 코스피 마감 시황

지수 흐름 및 수급 요약

  • 코스피 종가: 3,071.70 (+15.76, +0.52%)
  • 코스닥 종가: 781.50 (약보합)
  • 외국인: –6,490억 원 순매도 (4거래일 연속) 
  • 기관: +4,693억 원 순매수
  • 개인: +1,952억 원 순매수

상반기 코스피는 월간 기준 13.9% 급등하며 4년 7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연초 이후 28% 상승해 1999년 이후 최고 수준을 보였다

 

코스피 지수


상승 배경

  • 글로벌 증시 강세 영향: 미국·유럽 증시 상승 흐름이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 원/달러 환율 안정: 원화 강세가 지속되며 연내 환차익 기대감이 확대됐다
  • 무역·정책 모멘텀: 미·중 무역 협상 기대와 새 정부의 증시 부양 정책이 투자심리를 지지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흐름

종목명 등락률 흐름 요약
삼성전자 -1.64% 외국인 매도세 집중, 4거래일 연속 하락
SK하이닉스 +2.82% AI 수요 확대 기대감, 반도체 업황 반등
LG에너지솔루션 +3.13% 유럽 시장 수출 확대 기대, 저점 반등
삼성바이오로직스 -0.40% 제약/바이오 업종 조정 영향
현대차 -0.73% 수출 둔화 우려, 자동차 업종 약세
NAVER +1.94% 콘텐츠 플랫폼 성장 기대
카카오 -0.85% 기술주 전반 부진, 단기 피로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4.72% 단기 급등 피로감, 차익실현 매물 출회
KB금융 +0.27% 금리 인하 기대, 은행주 강세
두산에너빌리티 +3.95% 원전·수출 정책 수혜 기대
  • 상승 강세 종목: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NAVER, 두산에너빌리티
    → 업황 기대감 또는 정책 수혜 기대 반영
  • 하락 약세 종목: 삼성전자, 현대차, 한화에어로
    → 외국인 매도, 수출 우려, 차익실현성 매물 출회

 


급등주 TOP 5

(거래량·등락률 기반 상위 종목)

종목명상승률주요 이유
지에프씨생명과학 +112.75% 바이오 재료주 수요 급등
SK이노베이션 +25.15% 실적 개선 전망
티와이홀딩스우 +29.82% 분할 매수 테마 유입
동양철관 +29.94% 철강업종 업황 회복 기대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23.84% 바이오 관련 수급 유입
 

급락주 TOP 5

종목명하락률사유
태광산업 –11.24% 원자재 가격 조정 영향
LG씨엔에스 –11.12% 차익 실현 매물 출회
현대오토에버 –10.45% IT 업종 조정
카카오페이 –8.91% 과열 테마 부담
HDC현대산업개발 –7.61% 건설 업종 규제 우려
 

업종·테마별 흐름

상승 업종

  • 화학 +3.85%, 음식료·담배 +2.72%, 기계·장비 +2.02%, 전기가스·통신 등

약세 업종

  • 건설, 의료정밀, 운수장비, 철강금속 등

주요 테마

  • 2차전지 및 반도체: LG에너지솔루션, SK하이닉스 중심 반등 적용
  • 원전·전력기기: 두산에너빌리티, LS일렉트릭 등 정책 수혜
  • 바이오·철강·정밀기계: 급등·급락 종목에 포함된 테마성 수급 주도

 


 

단기 전략

  • 외국인 매도 지속에도 기관·개인의 집중 매수가 반등 전환을 주도했다.
  • 급등·급락 종목 포착을 통해 단기 트레이딩 기회 모색 가능

중기 전략

  • 상반기 증시 랠리는 정치·정책 모멘텀이 주도했으며, 하반기에는 실적 중심 시장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음
  • 테마 중심 순환매 전략으로 2차전지·화학·반도체·정책 수혜 업종 중심 포트폴리오 구성 권장
반응형